필패 신드롬은 유능한 직원도 상사에게 무능력하다는 의심을 받으면 실제 업무 능력이 저하되고 의욕을 상실하며 점차 무능한 직원으로 변한다는 심리적 현상이다. 의식적으로 여유가 없는 팬데믹과 같은 상황에 더 쉽게 발생한다. 필패 신드롬은 대화나 피드백 등 상호작용을 통해 편견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재확인하면서 타파할 수 있다. 원격 업무를 하더라도 의도적으로 시간을 할애해 구성원들이 서로 커뮤니케이션해야 하는 이유다. Z세대와 기성세대의 세대 갈등 문제 역시 필패 신드롬과 마찬가지로 편견에 기반한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 잘하는 사람’ ‘일 못하는 사람’ 직원들이 회사에서 쉽게 붙는 꼬리표다. “말하는 대로 된다”는 말처럼 꼬리표는 실제 사람들의 성과를 좌우한다.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일의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피그말리온 효과라 한다. 무서운 사실은 그 반대도 성립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아무리 일을 잘하는 스타 직원일지라도 상사로부터 일을 잘 못한다고 낙인 찍히면 실제 성과가 저조해진다. 상사들은 이들을 특별 관리 대상으로 여겨 모든 것을 통제하려 하거나 반대로 이들에게 큰 기대를 하지 않아 중요한 업무를 맡기지 않는다. 이때 부하 직원들은 상사와 회사에 불만을 갖거나 일에 의욕을 잃게 되며 목표한 결과를 내지 못한다. 장 프랑수아 만초니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학장과 그의 동료인 장 루이 바르수 IMD 선임 연구원은 인시아드대 재직 당시 상사와 부하 직원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다 이 같은 현상을 발견했다. 두 사람은 이 현상을 ‘필패 신드롬(The set-up-to-f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l Syndrome)’이라 이름 붙이고 1998년 3월 HBR(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동명의 아티클을 기고해 세상에 알렸다.
이내 필패 신드롬은 전 세계에 리더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고 그 덕에 이 아티클은 ‘HBR 역사상 가장 많이 읽힌 글’이라는 영예를 안게 됐다. 이후 두 사람은 15년간 현장 리더 3000여 명을 연구하며 필패 신드롬이 작동하는 원리를 더 명백히 밝혀냈고 이를 2002년 책으로 펴냈다. 이후 필패 신드롬은 여러 리더십 연구의 기초 토대로 활용됐다. 이들의 책은 한국에는 2014년 처음 『확신의 덫』이라는 제목으로 출간, 올해 1월 『필패 신드롬』으로 재출간됐다.
2022년의 리더들은 과연 필패 신드롬으로부터 자유로울까? 만초니 교수는 “원격 근무가 확산되며 필패 신드롬이 조직에 암약할 가능성은 더욱 커졌고 이를 극복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며 비대면 시대에 필패 신드롬을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세대 갈등이 조직 내 새로운 문제로 불거지며 새로운 유형의 낙인이 조직 내에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했다. 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가 만초니 교수에게 2022년의 필패 신드롬과 리더십에 대해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