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Up
Article at a Glance
나이가 들어 거동이 불편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요양원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요양원은 어떤 곳일까. 도우미들과 간호사들이 당신의 삶을 사사건건 간섭한다. 어떤 요양원이든 당신이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묻지 않을 것이다. 노인을 위한 생활지원주택‘파크 플레이스’가 인기를 끈 이유는 바로‘자유’때문이었다. 서비스는 요양원과 비슷하지만 서비스 제공자들과 입주민의‘역학관계’가 달랐다. 심각한 질병을 가진 사람이 원하는 것이 단순히 생명을 연장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타인에게 짐이 되지 않고 자신의 삶을 반추할 기회를 갖는 것이 인간의 존엄 아닐까. |
장수시대가 되면서 모든 사람들이 노후준비에 관심이 높다. 하지만 어떻게 죽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하지 않는다. 노후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제대로 죽는 것이다. 여러분은 어떻게 죽고 싶은가? 가족과 친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마지막 인사를 건네면서 죽고 싶은가, 아니면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단 채 의식 없는 상태에서 죽고 싶은가?
당연히 전자를 선택할 것이다. 근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대부분 무의미한 생명연장을 하면서 얼마 안 남은 마지막 시간을 써버리고 만다. 끔찍하겠지만 이런 일을 상상해보자. 부모님이 말기암이다. 항암치료를 해봐야 별 소용이 없다고 의사가 얘기한다. 당신이 자식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대부분의 자식들은“최선을 다 해보자, 할 수 있는 건 다 해보자”라며 치료에 매달린다. 환자에게 병명도 제대로 알리지 않은 채 연명치료에 매달리다 환자는 고통 속에 죽어간다. 과연 이게 최선일까? 누구를 위한 최선일까? 여러분이 환자라면 이런 선택을 하겠는가? 대부분의 연명치료는 본인이 아닌 가족을 위한 것이다. 이들은 할 건 다 해봤으니 여한은 없다, 후회는 없다고 생각한다. 연명치료로 얼마나 힘든 시간을 보내는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오늘 소개할 책<어떻게 죽을 것인가는 죽음에 대한 책이다. 나이 들어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존재라는 게 어떤 건지, 의학이 이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또 변화시키지 못했는지, 우리가 생각해낸 방법이 현실을 어떻게 왜곡시켰는지 살펴볼 것이다. 말년의 삶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관리하는 노인병학(geriatrics)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인간답게 죽을 권리
죽음이 아름답지는 않지만 인간답게 죽을 수는 있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라는 질문은 결국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이다. 여러분은 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늙을 준비가 돼 있는가? 인간은 누구나 늙는다. 늙는 것은 희귀한 현상이 아니다. 1790년 미국의 65세 이상 인구는2%가 채 되지 않았지만 이제는14%나 된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에서는20%를 넘어섰다. 중국은 세계 최초로 노인인구가 1억 명을 넘어섰다. 평균연령이 늘면서 젊은이와 노인 사이의 관계가 변했다. 전통적으로는 부모의 생존이 자녀에게 도움을 주었다. 안정감, 조언, 경제적 보호 등등….부모를 돌보기 위해 많은 것을 희생한 자녀는 집과 땅을 물려받거나 물려받을 것이란 기대가 있었다. 그런데 부모가‘너무’오래 살게 되면서 긴장관계가 만들어졌다. 노인들도 자녀들이 집 떠나는 것을 슬퍼하지 않는다. 긴 노후를 보내야 하는 부모들은 땅을 자식에게 물려주는 대신 임대하거나 팔기 시작했다. 양쪽 모두 따로 사는 것을 원한다.
모든 것은 허물어지게 마련이다. 사람들은 평소 건강에 별 문제를 느끼지 않는다. 그러다 병에 걸리면 딛고 있던 땅이 꺼지듯 모든 것이 무너져버린다. 나이가 든다는 건 몸의 각 부품이 노쇠해진다는 의미이다. 60세가 되면 평균적으로 치아의 3분의 1을 잃는다. 84세를 넘기면 거의40%가 치아를 모두 잃는다. 65세 즈음이면 인구의 절반 이상이 고혈압이 된다. 노화 현상은 부자유스런 현상이다. 오히려 늙기 전에 죽는 것이 자연스런 일이다. 관절염, 요실금, 대장암 등 질병을 갖고 모든 것이 점점 나빠지는 노인이 병원에 왔다. 여러분이 의사라면 이 노인에게 어떤 처방을 할까? 이 노인의 최대 위험은 무엇일까? 바로 넘어지는 것이다. 넘어져 골절이 일어나는 것이 가장 위험하다. 그렇게 되면 지금 누리는 많은 것을 잃게 된다. 매년 35만 명의 미국인이 낙상으로 고관절 골절상을 입고 그중40%가 요양원에 들어갔다. 또20%는 다시는 걷지 못한다. 골절에는 세 가지 원인이 있다. 균형감각 쇠퇴, 네 가지 이상의 처방약 복용, 근육 약화가 그것이다. 이 할머니는 현재5가지 약을 복용 중이다. 의사는 병을 치료하는 대신 다른 처방을 내렸다. 골절방지를 위해 발을 더 잘 돌볼 수 있도록 했다. 탈수 방지를 위해 처방약 중 이뇨성분이 있는 약을 다른 것으로 대체했다. 몸무게 증진을 위해 열량과 콜레스테롤이 낮은 식품을 줄이고 가족과 같이하는 식사 회수를 늘리고 간식을 좀 더 자주 먹도록 했다.
1년 후 이 할머니는 체중이 늘고 몸 상태도 좋아졌다. 몸의 쇠락은 넝쿨이 자라는 것처럼 진행된다.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노화는 운명이고 언젠가는 죽음이 찾아온다. 그러나 몸속의 마지막 장치마저 모두 고장 날 때까지 어떤 의학적 도움을 받느냐에 따라 그 과정은 많이 달라질 수 있다. 곤두박질 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잘 보존하며 살 수도 있다.
삶에 대한 주도권
나이 많은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죽음 전에 일어나는 일들, 청력, 기억력, 친구들, 지금까지의 생활방식을 잃는 것을 두려워한다. 나이가 든다는 건 계속 무언가를 잃는 것이다. 실버스톤 박사의 부인 벨라 여사가 그랬다. 시력을 상실했고 청력이 약해졌으며 기억력도 눈에 띄게 희미해졌다. 그러던 어느 날 청력을 완전히 상실했고 갑자기 쓰러지면서 양쪽 종아리뼈가 모두 부러졌다. 깁스를 뗀 지 4일 후 벨라 여사는 세상을 떠났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온라인바카라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온라인바카라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온라인바카라 콘텐츠를무제한으로 온라인바카라하세요.